집에 가는길
교통카드를 충전하다가 문득 지폐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궁금해서 찾아봤다
뭐 센서로 어떻게 저렇게 읽고 판독하고 그런거겠지 ㅋ
하지만 빠른속도와 정확성, 그리고 위조지폐 여부를 어떻게 할런지는 검색을 통해 알아보겠다.

지폐인식기를 만드는 회사는 몇몇 있지만 거론은 안하고
일반적인 공통 사양에 대해서 알아보자~

투입방향 : 지폐 4면 가능
인식속도 : 대략 1초
식별방법 : 자기센서, 광센서(투과형, 반사형), 길이센서, 형광센서

그 외적으로는 전원, 인터페이스, 소비전력 등등이 있으므로 따로 참고하고
다른 기능으로는 외화 지폐 식별, 위폐방지, 삼종권구별(천원,오천원,만원)등이 있다.
하지만 간단하게 식별방법에 대해서만 살펴보자.


  현재 지폐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크게 3가지 방법으로 구분된다.
지폐의 자기성분을 읽어 인식하는 자기방식, 빛의 투과에 의한 광방식, 그리고 광자기겸용방식을 들 수 있다.


자기방식은 지폐표면에 자기가 있는 부분에서 없는부분으로 넘어갈 때 신호가 크게 오는데 그것을 통해 인식을 하고, 광방식은 지폐의 색채 및 광 투과량을 가지고 식별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광자기겸용방식은 자기방식과 광방식의 장점을 겸용해서 지폐를 식별한다.


  이러한 3가지 지폐인식방법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면,우선 자기방식은 지폐를 인식하는 시간이 짧고 입수율을 광방식에 비해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지폐의 정확한 식별능력이 떨어져 위폐를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다. 광방식은 정확한 지폐식별력이 장점이나, 인식속도가 자기방식에 비해서 많이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입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지폐는 지질에 있어 자기방식보다는 광방식이 지폐인식에 있어 적절하나, 자판기 사용문화에 있어서는 속도가 빠르고 입수율이 높은 자기방식이 적격이다. 자판기 제조업체의 경우도 지폐식별기의 품질을 평가할 때 입수율을 가장 중요시 한다. 광방식과 자기방식의 상반된 단점을 절충하고자 등장한 것으로서 광자기겸용 방식이다. 자기방식의 높은 입수율과 인식속도, 광방식의 정확한 지폐식별력과 위폐배재율의 장점을 취한 고성능을 지향한 지폐인식방법이 광·자기방식이다.


지폐를 인식하는것은 결국 센서이다. 지폐의 특성이나 모양등을 통해서 지폐인식기는 지폐를 인식하는 것 같다. 깊게 들어가면 논문도 파야할 것 같아서 이정도만 알아본다. ^^;

위조지폐나 외국지폐, 훼손된 지폐의 경우도 넣으면 지폐 인식기에서 인식이 제대로 안 될것이다.
크기만 똑같게 만든다거나 한쪽이 찢어지거나 아니면 모양과 문양만 똑같이 만든다해도
자기량이라던지 빛의 투과등을 지폐 인식기에 잘 맞춰주어야 인식이 될테니  위조지폐 만들 시간에 아르바이트나 하는 것이 현명할꺼 같다.


++
이상으로 지폐 인식에 관한 간단한 고찰.


Tip. 동전이 필요한데 지폐만 있을경우?
  1. 근처 상가에 가서 동전좀 바꿔 달라고 한다.
  2. 오락실이 있다면 들어가서 요긴하게 교환을 한다.
  3. 주인아줌마가 동전없다고 상가에서 바꿔달라고도 못하고 오락실도 없다면
  4. 우선 자판기를 찾은 다음 천원권 2개를 넣고
  5. 반환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천원권 하나와 500원짜리 2개가 나올 것이다.

왜냐규?
지폐 인식기에서 현재 인식센서위에 있는 한장 밖에 반환이 안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2장 이상은 반환이 안된다. 천원은 동전으로 반환됨.




BLOG main image
안녕하세요! 천재호랑이입니다 @.@ by 천재호랑이

카테고리

천재호랑이 (33)
opinion (15)
computer (0)
여행 (1)
책소개 (8)
영화 (0)
컴퓨터공학 (2)
건강과운동 (7)
SNS (0)
갤럭시S (0)
untoC (0)
자격증 (0)
어학 (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Total :
Today : Yesterday :